
지식
루만의 사회체계이론 이해할 수 있을까?
1969년 새로 설립된 빌레펠트 대학 사회학부는 교수들에게 수행하고 있는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보고를 요청했다. 이 때 니클라스 루만은 "사회 이론; 기간: 30년; 비용: 없음"이라 대답했다. (루만, 1997, p.11) 루만은 제텔카스텐(메모 상자)을 활용해 체계이론을 만들었다. 그래서일까? 체계이론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 구성이 제텔카스텐 정리 방식과도 유사하게 느껴졌다. 이하 내용은 체계이론에 관한 문헌 가운데 이해한 부분들을 정리한 것이다. 다시 말해 사회체계이론의 일부만을 다룬 셈이다. 그럼에도 이해하려고 노력한 과정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. 1.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근원이 되는 것은 '주체'가 아닌 '체계' 이다. 그는 그동안 전통 사회학에서 사회의 필연적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온 '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