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루만의 사회체계이론 이해할 수 있을까?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

지식

루만의 사회체계이론 이해할 수 있을까?

1969년 새로 설립된 빌레펠트 대학 사회학부는 교수들에게 수행하고 있는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보고를 요청했다. 이 때 니클라스 루만은 "사회 이론; 기간: 30년; 비용: 없음"이라 대답했다. (루만, 1997, p.11) 루만은 제텔카스텐(메모 상자)을 활용해 체계이론을 만들었다. 그래서일까? 체계이론의 전반적인 흐름과 그 구성이 제텔카스텐 정리 방식과도 유사하게 느껴졌다. 이하 내용은 체계이론에 관한 문헌 가운데 이해한 부분들을 정리한 것이다. 다시 말해 사회체계이론의 일부만을 다룬 셈이다. 그럼에도 이해하려고 노력한 과정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. 1.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체계이론의 근원이 되는 것은 '주체'가 아닌 '체계' 이다. 그는 그동안 전통 사회학에서 사회의 필연적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온 '..

2021.08.25 게시됨

니클라스 루만의 두 번째 뇌, 제텔카스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

지식

니클라스 루만의 두 번째 뇌, 제텔카스텐

제텔카스텐이란? 제텔카스텐(Zettelkasten)은 종이 쪽지, 메모를 뜻하는 'Zettel'과 상자, 서랍을 의미하는 'Kasten'이 합쳐진 단어이다. Silp-box 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일종의 메모 상자와 같다. 이 방법을 이용해 무려 70권 이상의 책과 400개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던 이가 있었으니. 그는 바로 독일의 사회학자 니클라스 루만(Niklas Luhmann, 1927-1998) 교수 이다. 루만은 자신의 연구를 위해 약 90,000개의 메모 카드로 구성된 제텔카스텐을 구축했다. 제텔카스텐 방법론 숀케 아렌스(Sonke Ahrens)가 루만의 제텔카스텐을 연구한 『How to take smart notes』에 따르면, 메모에는 총 3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. 1. 임시 메모 : ..

2021.08.24 게시됨

728x90
반응형